top of page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출판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 ‘동아시아의 역사’로 함께 읽는 한.중.일 3국의 근현대사 – 병렬의 삼국지를 넘어 3국의 관계사로 읽는 동아시아사 2001년 일본의 위험한 교과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한중일 3국 역사학자가 만났다. 국경을 넘는 역사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공동의 역사책을 만들자는 데 합의, 그 첫 결과물이 2005년 《미래를 여는 역사》가 출간되었고, 그리고 2012년 두 번째 결과물이 나왔다. 첫 작품이 3국이 각자 들려주는 근현대사였다면, 이번에는 ‘관계사’에 주목했다. 개항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중일 3국은 전근대 시기보다 더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일국의 역사만으로는 왜 한반도에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 일어났으며, 그 파장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힘들다. 이 책은 각국사의 한계를 넘어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근현대 동아시아사를 국제 관계사의 맥락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일국사를 넘는 역사 인식의 확대뿐 아니라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힌다.


2. 테마별로 읽는 3국 민중의 삶과 교류의 역사

국제 관계를 통한 역사 서술에서는 다루기 어려웠던 3국 민중의 삶을 8개의 주제, 즉 헌법/도시/철도/이주/가족/교육/미디어/전쟁 기억 등을 통해 들여다봄으로써,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3국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근대의 제도와 문물이 3국 민중의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비교사적으로 고찰했다. 또한 근대에 들어 크게 늘어난 3국 민중의 교류와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들려준다.


3. 한.중.일 3국의 역사학자가 6년간 함께 집필한 결과물

2006년 11월 교토에서 열린 한중일 3국 역사학자의 회의에서 두 번째 공동 역사책 집필을 결정했다. 이후 공동 역사책 집필 과정은 수많은 논의를 거쳐 진행되었다. ‘관계사’와 ‘민중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어떠한 집필 방식을 취할 것인가, 각 장의 구분은 어떻게 할 것인가, 누가(어느 나라가) 집필할 것인가,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인가, 어떠한 시선으로 읽을 것인가, 어떤 글쓰기 방식을 취할 것인가, 어떤 역사 용어를 사용할 것인가, 사실 관계의 오류는 없는가를 논의하고 점검하기 위해 2012년 5월까지 19회의 국제회의와 60회가 넘는 국내회의, 그리고 수많은 이메일과 전화를 주고받으며 토론과 공유 과정을 거쳤다. 6년간 때로는 부닥치고 때로는 동의하는 과정을 거쳐 탄생한 이 책에는 3국 공동 집필의 의미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4. 국경을 넘은 역사 인식의 확대, 동아시아 역사 화해와 평화를 위한 디딤돌

21세기에 들어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의 침략과 지배를 둘러싼 반성과 보상 문제,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 영토 문제, 역사 교과서 문제 등 수많은 역사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들 역사 문제는 외교 관계까지 규정하는 독립 변수로 바뀌어가고 있다. 한?중?일 3국의 역사 화해가 더욱 절실해지는 시점이다. 이러한 때 공동의 역사책을 만들고 역사 인식을 공유하는 일은 3국의 역사 화해를 위한 노력으로, 그 의의 또한 크다. 서로 다툰 기억, 얽혀 있는 역사 사건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3국의 차이를 드러내고 인정하며 공동의 역사 인식을 담아내고자 노력한 이 책은 역사 갈등을 넘어 화해와 평화를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서평

근현대의 역사는 국경을 넘어 진행되었다. 우리나라가 왜 식민지로 전락했는지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식민지로, 반식민지로, 제국으로 운명이 갈린 한?중?일 3국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하나의 역사를 만들어왔는지 파악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세 나라 국경을 넘어 하나의 역사를 들려주는 이 책이 참으로 반갑다.

– 한홍구(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한,중,일 3국의 역사학자가 함께 집필한 ‘공동 역사책’ 이자, 3국의 시선으로 동아시아를 읽는다! 한국의 근현대사만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동아시아로 시선을 확장하는 순간 한?중?일 세 나라가 얼마나 밀접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왔는지를 새롭게 깨닫게 될 것이다. 3국의 역사학자가 6년간 함께 집필한 이 책은 세 나라의 관계사를 드러내기 위해 노력한 흔적으로 가득하다. 서로의 차이를 깨닫고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공동의 역사 인식이 싹튼다고 할 때, 이 책은 동아시아 공동체를 모색하는 데 좋은 반려자가 될 것이다.

– 서중석(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


역사는 과거와 미래의 대화이다. ‘화해와 평화의 21세기’를 열기 위해서는 아직도 갈등 관계에 있는 동아시아 근현대사를 마주하는 일이 절실히 필요하다. 과거를 공유할 때 비로소 미래로부터 들려오는 희망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3국이 힘을 합쳐 함께 만든 이 책은 동아시아 시민사회의 공공재이다.

– 백영서(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저자소개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란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는 2002년 3월 중국 난징에서 열린 제1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에 모인 한중일 3국 참가자들이 동아시아 공동의 역사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공동 역사 교재를 출간하기로 결정하면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함께하고 있나요?.

한국에서는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산하 한중일 공동 역사 교재위원회 소속의 학자와 교사가, 중국에서는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를 비롯해 여러 학자가, 일본에서는 학자 및 시민단체, 교사들이 위원으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요?.

2002년부터 4년의 작업 끝에 2005년 <미래를 여는 역사>가 세 나라에서 동시 출판 되었습니다. 이 책은 한중일 3국이 처음으로 함께 만든 공동 역사 교재로 동아시아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영어, 에스페란토어로도 번역되었습니다.2006년11월 일본 교토에서 새로운 공동 역사서 발간에 합의하고, 19회의 편찬회의와 수많은 이메일을 통해 논의를 거듭한 결과 2012년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 2를 출판했습니다. 이후로도 한중일 3국의 역사인식의 차이를 좁히고 확인하는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역사 대화를 통한 교류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입니다.

조회수 100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제51차 한중일 공동역사교재 국제편찬회의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역사연구소는 역사왜곡에 대한 비판만이 아닌 대안 제시로 한중일 3국 시민사회, 학계가 공동으로 기획하고 집필한 세계 최초의 동아시아 공동역사교재『미래를 여는 역사』를 출간하였습니다. 『미래를 여는 역사』는 2002년부터...

[공동교재] 제50차 한중일 3국 공동부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서울)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역사연구소는 역사왜곡에 대한 비판만이 아닌 대안 제시로 한중일 3국 시민사회, 학계가 공동으로 기획하고 집필한 세계 최초의 동아시아 공동역사교재『미래를 여는 역사』를 출간하였습니다. 『미래를 여는 역사』는 2002년부터...

Comments


bottom of page